삼국 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한반도를 중심으로 치열하게 경쟁하며 성장하고,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 체제를 완성한 시기입니다. 또한, 한반도 남부에는 독자적인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가야 연맹이 존재하며 삼국과 교류하고 경쟁했습니다.
제2장 삼국 시대의 성립과 발전
1. 고구려의 중앙 집권과 전성기 (4~5세기): 동아시아의 패자
고구려는 강력한 **철기 기술**과 **기마병**을 바탕으로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다진 후,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걸쳐 동아시아의 강자로 군림하며 최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1) 중앙 집권 체제의 확립: 소수림왕 (371~384) 👑
고구려는 4세기 후반 **소수림왕** 시기에 국가 통치 체제를 정비하며 전성기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율령 반포: 국가 통치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율령(律令)**을 반포했습니다.
- 불교 수용: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수용(372년)**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백성들의 사상적 통합을 도모했습니다.
- 교육 기관 설립: 인재 양성과 유교 교육을 위해 수도에 **태학(太學)**을 설립했습니다.
2) 광개토대왕 (391~412) ⚔️
아버지인 고국양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국력을 신장시켰습니다.
- 독자적 연호 사용: **’영락(永樂)’**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고구려가 중국과 대등한 **황제국**임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했습니다.
- 북방 정복: 북으로는 후연을 격파하고 **만주와 요동 지역을 완전히 장악**했으며, 동쪽으로는 동부여를 복속시켜 영토를 넓혔습니다.
- 신라 구원: 400년, 왜구가 신라에 침입하자 신라의 요청에 따라 **5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이를 격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금관가야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고구려의 영향력이 한반도 남부에까지 미치게 되었습니다.
- 역사적 기록: 이 모든 업적과 당시의 정세는 아들 장수왕이 세운 **광개토대왕릉비**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3) 장수왕 (413~491) 🗺️
고구려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재위하며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적극적인 남하 정책을 펼쳤습니다.
- 남하 정책과 수도 천도: 적극적인 **남하 정책**을 추진하며 427년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했습니다. 이는 남쪽 진출을 위한 전략적인 거점을 마련하고 내부 귀족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 나제 동맹: 장수왕의 남하 정책에 위협을 느낀 백제와 신라는 위기 극복을 위해 **나제 동맹(433년)**을 체결하여 고구려에 공동으로 대항했습니다.
- 한강 유역 장악: 475년 백제의 수도인 **한성(지금의 서울)**을 함락시키고, **백제 개로왕을 전사**시키며 **한강 유역 전체를 차지**했습니다. 이 사건은 고구려가 삼국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최전성기**에 도달했음을 상징합니다.
- 영토의 증거: 충주에 세워진 **중원 고구려비**는 당시 고구려가 한강 이남인 한반도 중부 지역까지 지배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2. 백제의 전성기 (4세기)와 중흥 노력: 해상 강국의 위용
백제는 **한강 유역**의 풍부한 생산력을 기반으로 삼국 중 가장 먼저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고구려의 침략으로 쇠퇴한 후에도 중흥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1) 전성기 구가: 근초고왕 (346~375) 👑
**근초고왕**은 백제의 중앙 집권 체제를 공고히 하고, 가장 넓은 영토와 강력한 국제적 위상을 확보했습니다.
- 최대 영토 확보:
- 남쪽으로는 **마한의 잔여 세력을 모두 병합**하며 국경을 남해안까지 넓혔습니다.
- 북쪽으로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는 등 최대 영토를 확보했습니다.
- 해외 교류와 위상:
- 중국의 **동진(東晉)**, 일본의 **왜(倭)**와 활발하게 교류하며 동아시아 **해상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습니다.
- 왜에 **칠지도(七支刀)**를 하사한 것은 당시 백제의 선진 문화 수준과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입니다.
- 역사서 편찬:
- 박사 **고흥**에게 **역사서 『서기(書記)』를 편찬**하게 하여 왕실의 정통성과 국가의 역사를 기록했습니다.
2) 웅진 시대의 부흥: 무령왕 (501~523) 🏰
475년 고구려 장수왕에게 한성을 빼앗기고 웅진(공주)으로 천도하는 위기를 겪었으나, **무령왕**은 혼란을 수습하고 국력을 회복시켰습니다.
- 지방 통제 강화:
- 지방의 22개 중요 지역에 **22담로(擔魯)**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왕실의 통제력을 강화했습니다.
- 대외 관계:
- 중국의 **남조 양(梁)**과 교류하며 고구려의 압박에 대항하고, 선진 문물을 수용했습니다.
- 대표 유물:
- 무덤인 **무령왕릉**은 도굴되지 않은 채 발견되어 왕의 신원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 무덤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 양식입니다.
3) 사비 천도와 중흥 노력: 성왕 (523~554) ⚜️
**성왕**은 백제의 재도약을 위해 수도를 옮기고 국호를 정비하며 중흥을 시도했습니다.
- 수도 천도 및 국호 변경:
- 538년, 수도를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일시적으로 **’남부여’**로 변경하여 부여 계승 의식을 분명히 했습니다.
- 중앙 관제 개편:
- 중앙 통치 조직을 **22부**로 확대 개편하고, 지방 행정 구역을 **5부 5방**으로 정비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습니다.
- 불교 발전:
- 불교를 장려하여 백성들의 정신적 통합을 꾀했고, 일본에 **불교와 선진 문화를 전파**하여 일본 아스카 문화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한강 유역 일시 회복과 전사:
- 신라의 **진흥왕**과 **나제 동맹**을 강화하고 고구려를 공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회복**했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배신으로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며 백제는 다시 쇠퇴의 길을 걸었습니다.
3. 신라의 전성기 (6세기): 한강의 새로운 주인
신라는 국가 발전이 다소 늦었으나, **6세기** 들어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3대에 걸쳐 급격하게 성장하며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완성하고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닦았습니다.
1) 국가 체제의 정비: 지증왕 (500~514) 🇰🇷
**지증왕**은 신라라는 국호를 확정하고 왕의 칭호를 사용하여 중앙 집권 국가로의 전환을 공식화했습니다.
- 국호 및 왕호 확정: 기존의 **’사로’** 대신 **’신라(新羅)’**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마립간 대신 **’왕(王)’**이라는 칭호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 행정 및 군사 정비: 전국을 **주(州)**, **군(郡)**, **현(縣)**으로 나누어 지방 제도를 정비하고, 수도에 동시(東市)와 **동시전(東市典)**을 설치하여 시장을 감독했습니다.
- 순장 금지 및 우경 실시: 순장(殉葬)을 금지하여 노동력을 보존하고, **우경(牛耕)**을 장려하여 농업 생산력을 크게 증대시켰습니다.
- 우산국 복속: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울릉도)**을 정복하고 신라의 영토로 편입시켰습니다.
2) 중앙 집권 체제 완성: 법흥왕 (514~540) ⚖️
**법흥왕**은 국가 기틀을 마련한 지증왕의 뒤를 이어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확고히 완성했습니다.
- 체제 정비: **율령을 반포**하고, 관리의 등급에 따라 옷 색깔을 정하는 **공복제**를 제정했으며, 귀족 회의의 수장인 **상대등**을 설치하여 정치 체제를 안정시켰습니다.
- 불교 공인: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국가 종교로 공인(527년)**하여 백성의 사상적 통합을 꾀하고 왕권 강화를 뒷받침했습니다.
- 영토 확장: **금관가야를 정복(532년)**하여 낙동강 하류 지역으로 진출했습니다.
- 독자 연호: **’건원(建元)’**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습니다.
3) 최대 영토 확보: 진흥왕 (540~576) ⛰️
**진흥왕**은 정복 군주로서 신라의 최대 영토를 확보하며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한강 유역 독차지:
- 백제 **성왕**과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 상류 지역**을 차지했습니다.
- 이후 동맹을 깨고 한강 하류까지 독차지하면서 **나제 동맹이 결렬**되었습니다. 백제 성왕은 복수를 위해 진격했으나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했습니다.
- 신라는 이로써 **한반도 중서부의 경제적 요충지**와 **황해로 나가는 길**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 대가야 정복: **대가야를 정복(562년)**하여 가야 연맹을 완전히 해체시키고 낙동강 서쪽 지역을 확보했습니다.
- 순수비 건립: 정복한 영토를 시찰하고 자신의 업적을 기리는 **4개의 순수비** (단양 적성비, 북한산비, 창녕비, 황초령비/마운령비)를 세워 신라의 영토를 확인했습니다.
- 기타 업적: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여 인재를 양성했습니다.
- **거칠부**에게 **역사서 『국사(國史)』를 편찬**하게 했습니다.
4. 가야 연맹의 발전과 멸망 ⚔️
가야는 **변한 지역**에서 성장한 여러 **소국들의 연맹체**로,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하지는 못했지만** 풍부한 **철 생산**과 **중계 무역**을 통해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가야는 크게 **전기**와 **후기** 연맹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습니다.
1) 전기 가야 연맹 (3~4세기) 🥇
- 중심 세력: 낙동강 하류 지역의 **김해의 금관가야**가 연맹을 주도했습니다.
- 경제적 특징:
- **철 생산**이 풍부하여 **낙랑**과 **왜(倭)**를 잇는 **중계 무역**을 통해 크게 번성했습니다.
- 수로왕 신화에서 알 수 있듯이, **수로왕**을 중심으로 **금관가야**의 건국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 쇠퇴: 400년,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기 위한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군사적 지원**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고 **금관가야**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습니다.
2) 후기 가야 연맹 (5~6세기) 🥈
- 중심 세력 이동: **금관가야**가 쇠퇴한 후, 내륙 지방인 **고령의 대가야**가 연맹의 **맹주**로 부상했습니다.
- 발전과 한계:
- 대가야는 독자적인 외교 활동을 펼치며 세력을 키우려 했으나, 주변의 **백제**와 **신라**가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며 세력 확장에 한계를 보였습니다.
- **대가야**의 **우륵**은 가야금을 만들고 연주하는 등 뛰어난 **음악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 멸망:
- **532년:** **금관가야**가 **신라 법흥왕**에게 먼저 병합되었습니다.
- **562년:** **대가야**가 **신라 진흥왕**에게 병합되며 **가야 연맹은 완전히 해체**되었습니다.
- 문화적 의의: 가야의 뛰어난 **철기 문화**와 **토기 제작 기술**은 신라에 흡수되어 신라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3장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와 발해
7세기 후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옛 고구려 땅에 발해가 건국되면서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는 남쪽의 **통일 신라**와 북쪽의 **발해**가 공존하는 **남북국 시대**가 전개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민족 문화의 폭과 깊이가 더해진 중요한 발전의 시기였습니다.
1. 삼국의 통일 과정과 그 의의 ✨
1) 나·당 연합의 결성과 백제·고구려의 멸망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압박에서 벗어나고 통일의 대업을 이루기 위해 당과 군사 동맹을 체결하는 전략적 선택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춘추(태종무열왕)**와 **김유신**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나·당 연합 결성: 648년, **김춘추(태종무열왕)**가 당과의 군사 동맹(**나·당 연합**)을 성사시켰습니다.
- 백제의 멸망 (660년):
-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계백**이 이끄는 **황산벌 전투**의 결사대가 패배하고, 수도인 **사비성**이 함락되며 **의자왕**이 항복했습니다.
- 이후 **복신, 도침, 흑치상지** 등을 중심으로 부흥 운동이 일어났으나, 주류 세력 간의 내분과 연합군의 총공세로 실패했습니다.
- 고구려의 멸망 (668년):
- **연개소문 사후** 아들들 간의 권력 다툼으로 국력이 크게 쇠약해진 틈을 타 수도 **평양성**이 함락되며 멸망했습니다.
- 멸망 후에도 **검모잠, 안승** 등을 중심으로 부흥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신라는 이들을 지원하며 당과의 관계 변화를 모색했습니다.
2) 나·당 전쟁과 통일 완성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은 옛 삼국 땅에 도독부와 도호부를 설치하여 한반도 전체를 **직접 지배**하려는 야욕을 드러냈습니다. 이에 신라는 당의 세력을 축출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 주요 전투에서의 승리:
- 육지에서는 **매소성 전투**에서 당의 대군을 격파했습니다.
- 바다에서는 **기벌포 해전**에서 당의 수군을 크게 물리치며 전쟁에서 최종 승리했습니다.
- 통일 완성: 신라는 676년, 당의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고 **대동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영토**를 확보하며 삼국 통일을 완성했습니다.
- 통일의 의의:
- 우리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를 수립하여 **민족 문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 삼국 간의 대립을 종식시키고 하나의 민족으로 통합되는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 통일의 한계:
- **외세인 당의 힘**을 빌렸다는 자주성의 한계를 지닙니다.
- 고구려의 옛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고 **대동강 이남으로 영토가 축소**되었다는 한계를 지닙니다.
2. 통일 신라의 발전과 사회 변화 🚀
삼국 통일 이후 신라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경제적 번영을 누리며 민족 문화 발전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1) 신문왕의 전제 왕권 강화 👑
신문왕(재위 681~692)의 개혁 정치는 통일 신라의 기틀을 마련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강력한 **전제 왕권**을 확립했습니다.
- 진골 귀족 숙청:
- 즉위 직후 장인인 **김흠돌의 난**을 계기로 왕권에 도전하는 **진골 귀족 세력**을 대거 숙청했습니다.
- 통치 제도 정비:
- 중앙군: **9서당**을 설치하여 **신라인뿐만 아니라** 고구려, 백제, 말갈 유민까지 포함시켜 **민족 융합**을 꾀했습니다.
- 지방 제도: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정비했습니다. **5소경**은 수도의 편재성을 보완하는 부수도 역할을 했습니다.
- 지방군: 각 주에 **10정**을 배치하여 지방 통치와 국방력을 강화했습니다.
- 유학 교육: 관리 양성을 위해 국립대학인 **국학(國學)**을 설립했습니다.
- 경제 제도 개혁:
- 귀족의 경제적 기반과 노동력 지배를 약화시키기 위해 **녹읍(祿邑)을 폐지**하고, 수조권(세금을 거둘 권리)만 주는 **관료전(官僚田)을 지급**했습니다.
2) 통일 신라의 경제와 사회 📈
경제: 국제 교역의 번성
- 농업 정책: **성덕왕** 대에는 백성들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하여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강화하고 **자영농**을 육성하고자 했습니다.
- 무역항: 농업 생산력 증대와 함께 국제 교역이 활발했으며, **울산항**과 **당항성**이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했습니다.
- 장보고의 활약: 8세기 말~9세기 초,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적을 소탕하고 당, 신라, 왜를 잇는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장악**했습니다.
사회: 골품제 유지와 새로운 변화
- 신분 제도: 엄격한 **골품제**가 여전히 유지되었으나, 능력 있는 **6두품 세력**은 학문적 능력을 바탕으로 왕의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하며 점차 영향력을 키웠습니다.
- 촌락 문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 중 하나인 **민정문서(촌락문서)**는 국가가 촌락의 **인구, 토지, 가축 수** 등을 3년마다 정밀하게 파악하여 **세금을 징수**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3. 발해의 건국과 해동성국 🐻
고구려 멸망 후, 698년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 기슭에 나라를 세우니, 이것이 바로 **발해**입니다. 발해는 북방에서 통일 신라와 공존하며 **남북국 시대**를 열었습니다.
1) 발해의 발전: 왕권 강화와 영토 확장
- 건국 (대조영, 고왕):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통솔하여 나라를 세우고(698년), **진(震)**이라 칭한 후, 713년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에 책봉되면서 국호를 **발해**로 확정했습니다.
- 무왕(武王, 재위 719~737):
- **’인안(仁安)’** 연호를 사용하며 **당과 대립**하는 강경책을 펼쳤습니다.
- 당의 산둥반도를 공격하는 등 적극적인 **공세 외교**를 펼치며 요서와 요동으로 진출했습니다.
- 흑수 말갈을 정벌하여 동만주 일대의 패권을 확립했습니다.
- 문왕(文王, 재위 737~793):
- **’대흥(大興)’** 등 연호를 사용하며 **체제 정비**에 힘썼습니다.
- 당과 **친선 관계**를 맺고 문물을 수용하여 **3성 6부** 중앙 관제를 마련했습니다.
- 수도를 **상경 용천부**로 옮겼으며,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스스로를 **’고려(고구려) 국왕’**이라 칭하며 **고구려 계승 의식**을 명확히 했습니다.
- 선왕(宣王, 재위 818~830):
- 9세기 전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하여 **최대 영토**를 확보했습니다.
- 이 시기 당으로부터 **’해동성국(海東盛國)’**, 즉 ‘바다 동쪽의 융성한 나라’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 지방 제도로 **5경 15부 62주**를 완비했습니다.
2) 발해의 고구려 계승 근거 💡
발해는 건국부터 문화, 대외 활동에 이르기까지 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한 국가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지배층 구성: **지배층의 다수**가 **고구려 유민**이었고, 이들이 피지배층인 말갈족을 통치했습니다.
- 문화적 유사성:
- 주거 문화인 **온돌 장치**와 지붕의 **기와 모양** 등 건축 양식에서 고구려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 불상 양식 중 **이불병좌상** 등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 무덤 양식:
- **정혜공주 묘**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 **정효공주 묘**는 벽돌무덤이지만 **고분 벽화**와 묘지(墓誌) 등에서 고구려적 요소가 발견됩니다.
- 대외적 명칭: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에서 스스로를 **’고려 국왕’** 또는 단순히 **’고려’**라고 칭하여 고구려 계승 국가임을 분명히 했습니다.